지역 경제 활성화의 대표 정책 수단으로 자리매김해 온 온누리상품권이 심각한 부정유통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제도 개선 회의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혁신에 나섰다.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 주재로 열린 이번 회의는 외부 전문가, 한국조폐공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온누리상품권의 건전한 유통 질서를 확립하고 부정유통을 원천 차단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지난해 12월 20일에 발표된 ‘온누리상품권 종합 개선방안’의 이행 현황을 점검하는 것으로 회의는 시작되었다. 이 방안에는 지류상품권의 구매 및 환전 한도 축소,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고도화, 그리고 월별 현장점검 강화와 같은 주요 조치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조치들이 실제 시장에서 어떤 반응을 얻고 있는지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더불어, 온누리상품권 상인 간 거래 금지, 상품권 재판매 금지, 부당이득 환수, 그리고 이에 대한 과태료 및 포상금 부과 근거 마련을 골자로 하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개정안(위성곤 의원 발의, 25. 8. 14)에 대한 논의도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개정안은 온누리상품권의 투명하고 공정한 유통 관리를 위한 법적 기반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정유통 차단과 더불어, 온누리상품권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소상공인 편익 증진 방안도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기존 디지털 앱 서비스는 가맹점 검색 기능 개선, 학습형 챗봇을 통한 민원 응대 UI·UX 향상, 그리고 테마별 가맹점 안내 기능 강화 등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특히, 소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소비자에게는 카드사 및 POS 데이터와 연계한 맞춤형 가맹점 및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구매 편의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또한, 소상공인에게는 업종 및 지역별 매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경영 분석 리포트(매출 추이, 고객 특성 비교 지표 등)를 제공하여 보다 효과적인 경영 전략 수립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러한 디지털 혁신을 통해 온누리상품권은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소비자와 소상공인을 잇는 데이터 기반의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기부는 이번 제도 개선 회의를 통해 온누리상품권의 부정유통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함으로써, 소상공인과 소비자가 모두 신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이는 지역 경제를 살리는 대표 정책 수단으로서 온누리상품권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