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를 지키기 위해 왜적에 맞서 싸우다 목숨을 바친 호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는 제향 행사가 연이어 열린다. 국가유산청 칠백의총관리소와 만인의총관리소는 각각 9월 23일과 26일, 칠백의총과 만인의총에서 순의제향(殉義祭享)을 거행한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과거를 기념하는 것을 넘어, 국가를 위한 헌신과 희생의 의미를 되새기고 이를 후대에 온전히 전승하려는 노력이 담겨 있다.
칠백의총에서는 올해로 제433주년을 맞는 순의제향 행사가 진행된다. 허민 국가유산청장을 비롯해 칠백의사 후손, 불교계 인사 등 3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제향은 초헌관의 분향 및 초헌례를 시작으로, 축관의 축문 낭독, 아헌관과 종헌관의 헌작, 그리고 대통령 헌화 및 분향 순으로 엄숙하게 진행된다. 제향 행사가 끝난 후에는 국가무형유산 전승자의 살풀이 공연이 펼쳐지며, 의총 참배와 불교 의례가 이어진다. 칠백의총은 임진왜란 당시 금산에서 왜적에 맞서 싸우다 순절한 의병장 조헌 선생과 의병, 의승 영규 대사, 의병장 고경명 선생 등 호국선열의 넋을 기리는 유적으로, 1963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어 9월 26일에는 제428주년을 맞는 만인의총 순의제향 행사가 열린다. 이 행사에는 허민 국가유산청장과 지역 국회의원, 만인의사 후손 등 500여 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인의총 역시 칠백의총과 동일한 식순의 제향 행사가 진행되며, 남원시립국악단의 지전춤과 창작 국악인 ‘만인의 염원’ 등 추모 공연, 그리고 의총 참배로 이어진다. 만인의총은 정유재란 당시 최대 격전지였던 남원성 전투에서 5만 6,000여 명에 달하는 왜적과 항전하다 장렬히 순절한 민, 관, 군 의사들을 모신 곳으로, 1981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순의제향 행사를 통해 혼신을 다해 나라를 지켰던 호국선열들의 숭고한 나라사랑 정신이 온전히 계승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체계적인 보존·관리와 더불어 국민들이 이러한 역사적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적극 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과거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깊은 울림을 주고, 미래 세대에게는 나라사랑의 중요성을 되새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