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학술원이 제70회를 맞이하여 학술적 성과를 기념하는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는 대한민국 학문 발전과 지적 자부심을 고취하는 중요한 행사로, 학술원이 지난 70년간 쌓아온 지적 전통과 자산의 상징성을 보여준다. 축사를 통해 학술원의 위상과 그간의 공로에 대한 감사의 뜻이 전해졌으며, 특히 이번 시상식 수상자들에게 깊은 축하와 격려가 이어졌다.
축사에 참여한 이들은 대한민국학술원이 단순히 학술 연구 기관을 넘어, 국가의 지적 자산과 전통을 지켜온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음을 강조했다. 또한, 행사에 참석한 노 교수들 중에는 축사자가 학생 시절에 모셨던 총장이나 은사들도 포함되어 있어, 학문적 계보와 스승에 대한 존경심을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가 되었다. 비록 학창 시절 성적이 좋지는 않았지만, 오늘날 이렇게 훌륭한 스승들과 함께하며 감사함을 느낀다고 밝혀 훈훈함을 더했다.
이번 시상식의 주인공인 다섯 분의 수상 교수들에게는 진심 어린 축하와 감사가 전해졌다. 이는 대한민국이 ‘한류’의 물결을 넘어 세계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우리의 학문적 성취가 세계 무대에서 주목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과거에는 해외 학문의 파급 효과를 통해 국내 학문이 발전했다면, 이제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연구와 성과가 세계적인 반향을 일으키는 ‘K-wave’의 시대가 도래했다.
실제로 과거 EBS에서 제작한 세계적인 석학을 소개하는 프로그램 ‘그레이트 마인즈’에서 한국 석학들이 배제된 것에 대한 아쉬움이 제기된 바 있다. 당시 이러한 지적은 한국 학문의 수준이 인문, 사회, 자연과학 등 모든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내놓고 설명할 만큼 충분한 업적과 역량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적 장벽 등 일부 요인으로 인해 세계 무대에서 충분히 소개될 기회를 얻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한민국학술원의 70년 역사는 한국 학문의 성장 과정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며,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70년은 노벨 평화상과 문학상을 넘어 모든 학문 분야에서 한국의 지적 전통과 자산이 세계를 이끄는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원 회원들과 교수들은 대한민국 지적 전통을 굳건히 지탱해 온 기둥으로서, 그들의 헌신과 노력 덕분에 이러한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오늘 수상한 모든 이들의 노력과 성과를 발판 삼아, 앞으로 더 많은 후배 학자들이 성장하며 한국 학문의 위상을 더욱 높여갈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축하의 메시지가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