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프종 진단이라는 예상치 못한 비보에 가족 전체가 충격에 빠진 상황에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단순한 경제 지원 정책을 넘어 따뜻한 응원과 사랑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작용했다. 올해 봄, 26세의 젊은 나이에 혈액암의 일종인 림프종 진단을 받은 사촌누나를 둔 중학생 안태현 군은 예상치 못한 가족의 시련 앞에서 망연자실했다. 늘 농담을 주고받고 웃음을 선사하던 존재가기에, 갑작스러운 병명은 현실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충격이었다.
하지만 병문안을 간 안 군은 예상과는 다른 누나의 모습을 마주했다. 병상에서도 특유의 밝음을 잃지 않고 오히려 안 군을 먼저 놀리며 웃음을 선사하는 누나의 모습에, 안 군은 복잡한 심경을 느꼈다. 겉으로는 밝아 보이지만, 얼마나 큰 고통을 감내하고 있을지 헤아리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러한 안타까움 속에서 안 군에게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되었고, 그는 망설임 없이 이 쿠폰을 누나를 위한 선물로 사용하겠다는 결심을 했다.
어머니와 함께 생활용품점을 찾은 안 군은 누나가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귀여운 수면 양말과 허브 향 핸드크림을 구매했다. 더불어 하트 모양의 쪽지에 진심 어린 응원의 메시지를 담아 함께 보냈다. 이 작은 선물과 편지가 누나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다. 안 군은 이 쿠폰이 단순한 소비를 위한 돈이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에게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지지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고 회상했다.
결과적으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안 군에게는 사랑하는 가족을 향한 응원을 실천할 수 있는 통로가 되었으며, 병상에 있는 누나에게는 힘든 투병 생활 속에서 작은 웃음을 되찾게 해주는 선물이 되었다. 이는 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급된 정책적 지원이 개인의 삶에 깊숙이 파고들어 정서적 유대감 강화와 희망 메시지 전달이라는 예상치 못한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안태현 군은 서울 목동에서 전하는 메시지를 통해 누나의 빠른 쾌유를 진심으로 기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