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산 우라늄공장의 폐수 방류로 인한 환경 오염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실시한 9월 정기 모니터링 결과 해당 해역에서 ‘이상 없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잠재적인 환경 위험에 대한 우려를 일정 부분 해소하는 결과로 분석된다.
정부는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수가 서해로 흘러들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우라늄 및 중금속 오염 가능성을 주시해왔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초, 정부는 강화지역 3개 주요 정점, 한강 및 임진강 하구 2개 정점, 그리고 인천 연안 2개 정점 등 총 7개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했다. 채취된 시료에 대한 정밀 분석 결과, 우라늄과 5종의 중금속 농도는 기존 모니터링 결과와 마찬가지로 ‘이상 없음’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우라늄 농도를 살펴보면, 강화지역 3개 정점에서는 0.099~0.760 ppb, 한강 및 임진강 하구 2개 정점에서는 0.054~0.106 ppb, 그리고 인천 연안 2개 정점에서는 1.652~2.328 ppb로 측정되었다. 이 수치들은 과거 7월과 8월에 측정된 결과와 비교했을 때 평상시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5종의 중금속 농도 역시 환경 기준 및 해양 환경 기준치 이하이거나 불검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카드뮴, 비소, 수은, 납, 6가 크롬 등 분석 대상 중금속들은 강화, 한강·임진강 하구, 인천 연안 등 각 정점에서 환경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았다. 특히 일부 항목에서는 정량한계 미만으로 ‘불검출’ 처리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9월 정기 모니터링 결과는 북한 평산 우라늄공장의 폐수 방류로 인한 즉각적인 환경 오염 위험은 현재까지 낮은 것으로 판단하게 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정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북한 우라늄공장 폐수 관련 동향을 면밀히 감시하고, 잠재적인 환경 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응 체계를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서해안 해양 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