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3년 차 신혼부부에게 닥친 비극은 아내가 결혼 1년 만에 3기 희귀암 진단을 받은 것이었다. 당시 29세였던 아내는 갑작스러운 투병으로 인해 아이를 갖기 힘든 몸이 되었고, 전신마취와 개복수술이라는 큰 고통을 겪어야 했다. 당사자보다 가족을 먼저 위로하는 아내였지만, 혼자 흘리는 눈물을 보며 남편은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었다. 정신적으로도 힘든 시기에 아내는 항암치료까지 병행하며 신체적 고통과 더불어 탈모, 심한 염증 등 부작용으로 점차 기운을 잃어갔다. 만신창이가 된 자신의 모습을 보며 우울감도 깊어졌다.
하지만 가족의 헌신적인 노력 끝에 아내는 씩씩하게 항암치료를 이겨내고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아직 외부 활동에 제약이 있지만, 조금씩 운동을 하며 웃음을 되찾아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내에게 민생지원금이 지급되면서 큰 힘이 되었다. 수입이 없는 암 환자에게 민생지원금은 경제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외부 활동을 독려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내는 민생지원금을 사용하기 위해 외출하며 운동에 더욱 열심을 내게 되었다.
최근 아내는 민생지원금으로 피부 염증 치료를 받고, 외식과 추억이 깃든 카페 방문 등 오랜만에 바깥 데이트를 즐겼다. 암 환자인 아내가 민생지원금으로 직접 데이트 비용을 계산하며 신나게 웃는 모습은 남편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과거 사회생활을 하며 당당하게 자신의 카드를 사용하던 아내의 모습과, 항암치료로 고통받던 모습이 스쳐 지나갔다. 그리고 이제 자신의 명의로 지급된 민생지원금을 사용하여 남편에게 무언가를 사줄 수 있다는 마음에 아내는 큰 자존감을 느꼈다.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본래 취지를 넘어, 이 민생지원금은 암 투병으로 인해 위축되었던 아내의 자존감을 회복시키는 따뜻한 지원이 되었다. 남편은 아내와의 소중한 데이트 경험과 아내가 보여준 긍정적인 변화를 평생 잊지 못할 것이라 말하며, 아내의 자존감을 높여준 정부에 깊은 감사를 표했다. 마지막으로 남편은 더 이상 아프지 말고 건강하게 함께하자는 사랑의 메시지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