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봉 농가의 고질적인 꿀벌 피해 문제와 한우 번식우의 생산성 저하라는 농촌의 두 가지 핵심 현안 해결을 위해 농촌진흥청이 총력전을 펼친다.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은 최근 전국 농업 현장을 직접 방문하며 새 정부 국정과제와 연계된 중점 과제들의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농촌진흥청의 이번 행보는 단순히 농업 현장의 어려움을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기술 보급과 지원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꿀벌 피해 감소와 한우 번식 효율 증진이라는 두 가지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그 귀추가 주목된다.
이승돈 청장은 지난 9월 19일, 경북 칠곡의 꿀벌나라 테마공원을 찾아 2026년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모형 시범사업장을 둘러보았다. 이 사업은 지역 현안 해결과 농업 발전을 목표로 시군 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연구, 지도, 민간이 협력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기술을 보급하고 적용하는 사업이다. 칠곡군은 ‘칠곡 허니웨이’라는 꿀벌-농가-소비자 상생 사업을 제안하여 이번 시범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앞으로 2년간 천연벌꿀 검사 시스템 구축, 칠곡벌꿀 상품화, 스마트양봉 시험장 조성, 병해충 경감 기술 지원 등을 받게 된다. 농가들과의 간담회에서 이승돈 청장은 꿀벌응애, 말벌, 농약 피해로 어려움을 겪는 양봉농가들의 의견을 수렴했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꿀벌응애 조기진단 장치를 신속히 보급하여 약제 비용 절감과 건강한 꿀벌 사육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더 나아가 꿀벌응애 저항성 품종 개발 및 보급을 통해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같은 날, 이승돈 청장은 구미시 해평면의 한우 농가를 방문하여 신기술 적용 성과를 확인하고 청년농업인들을 격려했다. 현재 농촌진흥청은 전국 19개 시군, 57개 농가를 대상으로 ‘한우 번식우 수태율 향상 및 송아지 관리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사양관리 전문 컨설팅을 통해 번식우의 영양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코팅 베타카로틴 급여로 수태율을 높이며, 송아지 집중관리실 보급으로 폐사율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승돈 청장은 한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번식 효율을 높여 안정적인 송아지 생산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관련 기술 보급 확대를 통해 농가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미래 축산업을 선도할 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2021년부터 시작된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거점 지역 운영을 통해 159명의 청년농업인들에게 번식, 개량, 사양관리 등 전문 기술 및 경영관리 교육, 컨설팅을 제공하고 지역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정보 교류를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2025년까지 15개소로 확대 운영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은 이처럼 당면한 농업 현장의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고, 과학기술 기반의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써 농가 소득 증대와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