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양봉 산업과 한우 산업 현장에서 심각한 문제점이 연이어 제기되며 농가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꿀벌 개체 수 감소와 한우 번식률 저하는 농가 소득 감소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의 지속 가능성까지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농촌진흥청은 현장 점검과 함께 구체적인 기술 지원 방안을 제시하며 농가 생산성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촌진흥청 이승돈 청장은 지난 9월 19일, 경북 칠곡의 꿀벌나라 테마공원을 방문하여 2026년 기술보급 블렌딩 협력모형 시범사업 현장을 점검했다. 이 시범사업은 지역 현안 해결과 지역 주도 농업 발전 모델 구축을 목표로 하며, 시군농업기술센터를 중심으로 연구, 지도, 민간이 협력하여 기술을 보급하고 적용하는 사업이다. 칠곡군은 ‘칠곡 허니웨이’라는 꿀벌-농가-소비자 상생 사업을 제안하여 이번 시범사업에 선정되었으며, 앞으로 2년간 천연벌꿀 검사 시스템 조성, 칠곡벌꿀 상품화, 스마트 양봉 시험장 구축, 병해충 경감 기술 지원 등을 받게 된다.
현장에서 이승돈 청장은 칠곡군 꿀벌 지원 사업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칠곡, 고령, 성주 지역 양봉 농가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양봉 농가들은 꿀벌응애, 말벌, 농약 등으로 인한 꿀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 및 보급의 시급성을 호소했다. 이에 대해 이 청장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꿀벌응애 조기진단 장치를 신속히 보급하여 약제 사용 비용을 절감하고 건강한 꿀벌 사육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더 나아가 꿀벌응애 저항성 우수 꿀벌 품종을 개발 및 보급하여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도모하겠다고 약속했다.
같은 날, 이승돈 청장은 구미시 해평면에 위치한 한우 농가를 방문하여 청년 농업인을 격려하고, 축산 신기술 보급 시범사업의 성과를 확인했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전국 19개 시군, 57개 농가를 대상으로 ‘한우 번식우 수태율 향상 및 송아지 관리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사양관리 전문 컨설팅을 통해 번식우의 영양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코팅 베타카로틴 급여를 통해 수태율을 높이며, 송아지 집중관리실 보급으로 폐사율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청장은 한우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번식 효율을 높여 안정적인 송아지 생산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한우 번식우 수태율 향상 기술과 송아지 집중 관리 시스템 보급을 확대하여 농가가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미래 축산업을 선도할 인재 육성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청년 농업인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축산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2021년부터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거점 지역을 선정하여 기술 지원을 해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현재 159명의 청년 농업인을 대상으로 번식, 개량, 사양관리 등 전문 기술 교육과 경영 관리 교육 및 전문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거점별 연결망 활성화를 통해 청년 농업인 간의 정보 교류를 돕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