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월성 2호기에서 발생한 중수 누설 사건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며,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점검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9월 19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오후 4시 30분경 월성 2호기 감속재 정화계통에서 중수 누설이 발생했다고 원안위에 보고했다. 이 사실은 오후 5시 16분에야 원안위 월성원전지역사무소에 보고되었고, 지역사무소는 오후 5시 50분에 현장에 도착하여 점검을 시작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잠재적인 안전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보고 및 대응 체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킨다.
이번 사건은 계획예방정비 중이던 월성 2호기에서 발생했으며, 원자로가 정지된 상태였다. 누설이 확인된 직후 한수원은 즉시 관련 펌프를 정지시켜 누설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했다. 누설된 중수는 원자로 보조건물의 필터룸 및 내부 집수조로 수집되어 외부로 유출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9월 19일 낮 12시 기준으로 약 265kg의 중수가 누설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한수원은 추후 정확한 누설량을 산정하여 추가 보고할 예정이다. 다행히 이번 누설로 인해 원전 외부의 방사능 관련 특이사항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안위는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월성원전지역사무소를 통해 현장의 안전성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단을 현장에 파견하여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설 예정이다. 이번 월성 2호기 중수 누설 사건은 원자력 발전소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설비 이상 및 관리 시스템의 잠재적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향후 철저한 조사와 개선책 마련을 통해 안전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할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