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청년층의 고용 불안정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취업 시장에 진입하는 청년 수는 꾸준히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추세지만, 양질의 일자리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며 구직난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신기술 산업의 발전과 노동 시장의 변화에 발맞춘 직업 훈련 기회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또한, 은둔형 청년으로 불리는 ‘쉬었음 청년’들의 사회 복귀를 돕는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2026년 청년일자리 예산을 대폭 확대하며 문제 해결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이번 예산 확대는 청년들의 구직 활동을 다각도로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먼저, 청년들의 수요가 높은 일경험 프로그램과 구직 의욕 고취 프로그램을 지원 대상 규모를 확대한다. 쉬었음 청년들을 위한 ‘청년도전지원프로그램’은 기존 1.2만 명에서 1.3만 명으로 지원이 늘어난다. 직업 훈련 분야에서는 급변하는 노동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AI 핵심 역량 강화에 집중 지원하며, ‘내일배움카드’를 통해 AI 융복합 직업 훈련 과정을 신설하여 7만 명에게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청년들의 취업과 장기 근속을 장려하기 위한 기업 지원도 강화된다. 채용 장려금을 통해 청년들의 기업 참여를 높이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 격차를 완화하며 중소기업에서 장기적으로 근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되었다. 구체적으로 비수도권 중소기업에 취업하는 청년 5만 명을 대상으로 하며, 근속 인센티브로 2년간 480만 원에서 720만 원을 지원한다. 특히 인구 감소 지역에 취업하는 청년에게는 우대 지원이 이루어진다.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의 구직촉진수당 역시 월 50만 원에서 60만 원으로 상향 조정된다.
이와 함께 청년 눈높이에 맞는 지역 일자리 창출과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한 예산도 투입된다. 지역 산업의 특성에 맞는 일자리 지원을 확대하고, 지자체 간 청년 사업 기획 및 운영을 연계하는 새로운 지역 일자리 모델 지원에 500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될 계획이다. 이러한 다각적인 예산 투입을 통해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