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통일교육은 분산된 정보와 제약된 체험 방식 때문에 일반 국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특히, 과거와 현재를 잇는 통일의 의미를 깊이 있게 체험하고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립통일교육원은 ‘통일교육 디지털 플랫폼’을 새롭게 선보이며 통일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 디지털 플랫폼은 크게 두 가지 핵심 서비스, ‘Uni-Verse’와 ‘유니에드’를 통해 국민들의 통일교육 경험을 혁신한다. ‘Uni-Verse’는 흩어져 있던 통일교육 관련 가상 체험 서비스를 통합한 3D 실감형 누리집이다. 이곳에서는 ‘사라진 마을’ 코너를 통해 6.25 전쟁 전후 DMZ 인근 마을의 모습과 주민들의 삶을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또한, ‘이산가족 고향 방문’ 콘텐츠를 통해 과거 고향에서의 삶과 이산 과정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그리움을 느낄 수 있다. ‘판문점 견학’ 코너에서는 평화의 집, 판문각 등 판문점의 주요 공간들을 둘러보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역사의 현장을 체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함께 상상하는 통일한반도’라는 랜선 투어에서는 한반도통일미래센터의 다양한 체험 교육 시설을 미리 둘러볼 수 있으며, 개성, 평양, 신의주 등 북한의 주요 도시 랜드마크를 탐방하며 통일된 한반도의 미래를 그려볼 수 있다.
‘Uni-Verse’는 전문 자료 열람 및 실시간 소통 교육을 위한 ‘전문 자료부터 전문가까지’ 섹션도 강화했다. DMZ의 생태문화 관련 전문 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과 교육자와 함께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퀴즈 등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는 ‘학습방’이 마련되어 있다. 학습방에서는 QR코드를 활용하여 선생님의 질문에 직접 답변하는 등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유니에드’라는 모바일 앱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든 통일교육 정보를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유니에드’ 앱은 국립통일교육원의 공지사항 및 행사 안내는 물론, 오두산 모바일 전망대 둘러보기, 국립통일교육원, 한반도통일미래센터, 오두산통일전망대 시설 안내, 미래센터 체험활동 안내 등을 제공한다. 또한, 도서, 학습강의안, 영상 등 국립통일교육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열람할 수 있다.
이번 ‘통일교육 디지털 플랫폼’ 구축은 통일교육의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과거와 미래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민들이 통일에 대해 더욱 쉽고 재미있게 배우고 공감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Verse’와 ‘유니에드’를 통해 통일교육은 이제 딱딱하고 어려운 학습에서 벗어나 생생하고 편리한 경험으로 국민들 곁에 다가서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