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학술원이 걸어온 70년의 역사는 단순한 시간의 흐름이 아닌, 대한민국 지적 자산과 전통을 세계 무대에 내세우기 위한 준비 과정이었다. ‘K-콘텐츠’가 전 세계를 휩쓸고 ‘K-웨이브’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확장된 현재, 학술 분야 역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자부심을 드높일 시점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전에는 해외 학문의 파급 효과를 통해 한국에 새로운 흐름이 유입되는 방식이었지만, 이제는 한국에서 시작된 지적 성과가 세계적인 파장을 일으키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시사한다.
이는 과거 EBS 프로그램 ‘그레이트 마인즈’에 한국 석학들이 배제되었던 상황과 대비된다. 당시 일부에서는 한국 학계의 세계적인 경쟁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으나, 영어권 국가라는 지리적, 언어적 제약을 제외하면 인문, 사회, 자연, 과학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세계적인 수준으로 평가받고 설명될 만한 업적들이 축적되어 있음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이러한 축적된 학문적 역량은 대한민국 학술원이 70년간 지켜온 지적 전통과 자산의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제70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시상식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학계의 자부심을 고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날 시상식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대한민국 학술원이 대한민국의 학문과 지적 자부심, 그리고 지적 전통을 상징하는 기관으로서 갖는 의미를 강조하며, 수상자들에게 깊은 감사와 축하의 뜻을 전했다.
이정복 회장을 비롯한 학술원 회원들의 노고와 함께, 과거 은사님들의 따뜻한 격려 속에 학창 시절로 돌아간 듯한 감회를 느꼈다는 참석자의 발언은 학문적 전통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켰다. 이제 대한민국 학술원은 지난 70년의 성과를 발판 삼아, 미래 70년에는 노벨 평화상과 문학상을 넘어 모든 학문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지적 전통과 자산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시상을 통해 선정된 다섯 분의 교수님들의 수상은 앞으로 수많은 후배 학자들에게 귀감이 되며, 대한민국 학계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견인할 동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