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2호기에서 발생한 중수 누설 사건은 원자력 발전소 운영의 근본적인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지난 9월 19일 4시 30분경, 월성 2호기의 감속재 정화계통에서 중수가 누설되었다는 사실을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에 보고했다. 이는 계획예방정비 중이어서 원자로가 정지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한 예상치 못한 사고라는 점에서 관계 당국의 철저한 조사와 함께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번 사고는 한수원이 오후 5시 16분경 원안위 월성원전지역사무소에 보고하면서 알려졌다. 이후 지역사무소는 오후 5시 50분 현장에 도착하여 즉각적인 점검에 착수했다. 중수 누설이 확인된 직후, 한수원은 신속하게 관련 펌프를 정지시켜 추가적인 누설을 차단하는 조치를 취했다. 누설된 중수는 원자로 보조건물 내 필터룸과 내부 집수조에 모두 수집되었으며, 외부로의 유출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12시 현재까지 파악된 누설량은 약 265kg으로 추정되며, 한수원은 향후 정확한 누설량을 산정하여 재보고할 예정이다. 다행히 원전 외부의 방사능 관련 특이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중수 누설 사고의 발생 배경을 파악하고 향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원안위는 현재 월성원전지역사무소를 통해 현장 안전성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 더불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사단을 현장에 파견하여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를 통해 월성 2호기의 감속재 정화계통에 발생한 문제점을 명확히 밝히고,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시스템 개선 및 관리 감독 강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