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군대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은 급격한 인구 감소로 인한 병력 자원 부족 문제다. 과거 병력 수에 의존했던 인해전술식 군대 운영 방식으로는 미래 전장의 복잡성과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군은 전통적인 병력 중심에서 벗어나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유무인 복합체계와 전문화된 정예 강군으로의 재편을 서두르고 있다.
이러한 군의 혁신은 단순한 미래 대비를 넘어, 현재의 안보 환경 속에서 ‘자주국방’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솔루션으로 제시된다. 구체적으로 감지, 판단, 조준, 사격이 자유로운 AI 전투로봇, 무장 자율드론, 초정밀 공격 방어 미사일과 같은 첨단 무기체계를 도입하여, 적은 병력으로도 수천수만의 적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이는 곧 상비군 숫자가 북한에 비해 적더라도, 260만 명에 달하는 예비 전력과 세계 5위 수준의 군사력, 그리고 북한 국가 총생산의 약 1.4배에 달하는 국방비 지출 규모를 고려할 때 충분히 극복 가능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또한, 세계가 인정하는 문화 강국이자 방위산업 강국으로서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국방 역량을 강화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대한민국은 더 이상 병력 수의 열세를 걱정할 필요 없이 강력한 자주국방 태세를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인구 감소라는 시대적 난제 속에서도 경제력과 문화력을 포함한 통합 국력을 바탕으로, 사기 높은 스마트 강군 육성, 방위산업의 강력한 육성, 그리고 안보 외교 강화를 통해 다시는 침략받지 않고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는 진정한 의미의 자주국방 국가로 발돋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특히, 외부 군사 충돌 가능성이 높아지고 갈등이 심화되는 국제 정세 속에서, 강력하고 자율적인 자주국방 능력 확보는 대한민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한 최우선 과제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