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을 앞두고 택배 물동량이 급증하면서 소비자 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러한 상황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소비자 피해 예방주의보를 발령했다. 이는 명절 기간 동안 택배 물량이 평시 대비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늘어날 수 있는 관련 피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조치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의 2024년 기준 전망에 따르면, 평시 일 평균 1,660만 박스에 달하던 택배 물량이 추석 전후인 9월 2일부터 9월 25일까지는 일 평균 1,850만 박스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물량 증가는 곧바로 소비자 피해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최근 3년간(2022년부터 2025년 6월까지)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택배 관련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총 1,149건에 달하며, 이는 연간 300건 이상의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러한 피해의 상당 부분이 특정 사업자들에게 집중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체 피해구제 신청 건수의 76.5%에 해당하는 879건이 5개 주요 사업자를 대상으로 접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물량 증가로 인한 불가피한 사고 발생을 넘어, 일부 택배 사업자들의 서비스 품질 관리 및 소비자 보호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소비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동시에, 택배 사업자들의 책임 있는 자세와 서비스 개선 노력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추석 명절 기간 동안 택배 물량 급증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의 주의보 발령은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재확인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빈번하게 발생하는 택배 관련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꼼꼼한 확인은 물론, 택배 사업자들의 자발적인 서비스 개선과 철저한 품질 관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병행될 때 명절을 맞아 증가하는 택배 이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