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반도는 남북 간 긴장 상태가 고조되며 우발적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대화 채널의 부재와 상호 불신으로 이어져, 인도적 사안이나 재난과 같은 시급한 현안 해결마저 어렵게 만들고 있다. 과거의 적대적 행위가 청산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군사적 긴장 또한 실질적인 신뢰 구축을 가로막는 주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에 대한 근본적인 위협이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통일부는 ‘화해·협력의 남북관계 재정립 및 평화공존 제도화’를 5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선정하고,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추진한다. 핵심적으로 남북대화 및 교류협력 전담 부서를 회복하고, 사회적 대화와 평화·통일·민주시민 교육 기능을 확충하는 등 통일부 조직의 정상화와 역량 강화에 신속히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한, 남북 간 우발적 충돌을 방지하고 재난이나 인도적 사안 해결을 위한 대화 채널을 가동하는 것을 목표로, 당국, 민간,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남북대화 재개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더불어 남북 상호 간 적대적이고 대결적인 행위를 청산하고, 단계적인 군사적 긴장 완화 조치를 통해 실질적이고 제도적인 신뢰를 형성함으로써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을 도모한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국내 대북 및 통일 정책 추진 기반을 제도화하고, 남북 합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남북 관계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만약 이러한 평화 공존 제도화 방안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경색된 남북 관계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상시적인 대화 채널 구축을 통해 우발적 충돌 위험을 낮추고, 인도적 지원 등 시급한 현안에 대한 협력이 가능해질 것이다.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은 한반도 전반의 안정을 증진시키고, 남북 간의 적대적 행위 청산은 과거의 갈등을 넘어 미래지향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는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새로운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