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년 약 3천 건에 달하는 해양사고 중 10%를 차지하는 충돌, 접촉, 좌초 등 교통 관련 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선박교통관제(VTS) 시스템 강화 작업이 본격화된다. 해양경찰청은 전국 19개 VTS 센터의 운영을 대폭 확대하고 인공지능(AI) 및 차세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안전한 바다를 구현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VTS센터는 24시간 선박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위험 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선박을 안전한 곳으로 유도해 사고를 예방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항만 운영, 도선 및 예선 안내와 같은 물류 지원 기능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 시 초기 대응 및 구조세력의 신속한 출동을 지원하는 중추적인 임무도 맡고 있다.
실제로 해양경찰청은 지난 10년간 관제 인력을 꾸준히 확충해왔다. 서해 5도를 포함한 경인·태안연안 VTS센터 2개소와 군산, 목포, 제주 광역 VTS가 신설되었으며, 오는 2026년에는 동해와 포항권에도 광역 VTS 운영을 계획하고 있다. VTS의 핵심 장비인 레이더 역시 67대에서 101대로 늘어나면서 관제 면적은 19,336㎢에서 43,908㎢로 127% 확대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관제 면적이 두 배 이상 넓어진 상황에서도 교통 관련 사고 건수는 37건에서 41건으로 소폭 증가에 그쳐, 이러한 정책적 효과가 이미 일부 입증된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해양경찰청은 더욱 안전한 해양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첫째, 2030년까지 전국 VTS 통합연계망을 구축하여 19개 VTS의 관제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현장세력 및 해양수산부 등 유관기관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사고 예방 및 대응체계를 한층 고도화할 예정이다.
둘째, 인공지능(AI)을 VTS에 본격적으로 접목한다. AI는 비정상적인 운항으로 인한 충돌 및 좌초 위험, 닻 끌림 현상 탐지, 항로 혼잡도 예측 등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위험 경보를 제공함으로써 관제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4년 연구개발(R&D)을 통해 핵심 기술은 이미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이를 순차적으로 전국 VTS에 도입하여 AI 기반 관제 모니터링 체계를 완성해 나갈 방침이다.
셋째, 2029년까지 130억 원을 투자하여 차세대 디지털 VTS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현재 음성 위주의 아날로그 해양 통신 체계를 디지털화하여 관제 정보를 손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국제해사기구(IMO) 등 국제기구의 논의에 발맞춰 국제 표준을 선점함으로써 해양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용진 해양경찰청장은 “해양경찰은 첨단 기술 도입을 통해 더욱 안전한 우리 바다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안전은 모든 국민이 다 함께 노력할 때 비로소 완성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