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K-음원 지식재산권(IP)이 1억 달러 규모의 실물자산 토큰화(RWA) 프로젝트를 통해 새로운 가치 창출의 가능성을 열었다. 글로벌 IP 기반 실물자산 토큰화 프로젝트인 ‘아리아 프로토콜(Aria Protocol)’이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표 플랫폼 ‘아리아 프라임(Aria Prime)’의 공식 출범을 발표하면서 K-음원 IP의 잠재력이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이번 출범은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문화 콘텐츠 IP가 실물자산과 결합하여 금융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존의 K-음원 IP는 음반 판매, 스트리밍, 공연 등 전통적인 방식의 수익 창출에 머물러 있었다. 하지만 ‘아리아 프라임’은 이러한 IP를 실물자산으로 토큰화함으로써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금융 상품으로 재탄생시키려는 야심 찬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의 첫 번째 행보로, ‘아리아’는 콘텐츠테크놀로지스(Contents Technologies)와 손을 잡고 1억 달러 규모의 K-음원 IP를 기반으로 한 토큰화 작업을 진행한다. 이는 K-음원 IP가 가지는 높은 인지도와 팬덤을 활용하여, 실제 투자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아리아 프라임’의 출범은 K-음원 IP를 소유하고 있는 창작자 및 관련 기업에게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토큰화를 통해 IP의 소유권을 분할하고 유동성을 확보함으로써, 과거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방식의 투자가 가능해진다. 기관 투자자들은 ‘아리아 프라임’을 통해 검증된 K-음원 IP에 안정적으로 투자하고, IP의 가치 상승에 따른 수익을 공유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K-음원 산업 전반에 걸쳐 투자 활성화를 촉진하고, IP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러한 실물자산 토큰화는 K-음원 IP의 글로벌 확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아리아 프라임’을 통해 토큰화된 K-음원 IP는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쉽게 접근 가능하며, 이는 곧 K-음원의 인지도를 더욱 높이고 새로운 팬층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향후 ‘아리아 프로토콜’이 K-음원 IP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실물자산 토큰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면, 이는 한국이 문화 콘텐츠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는 동시에, 새로운 금융 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