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4년 전국사업체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국내 사업체 수가 635만 3,673개로 전년 대비 10만 7,184개(1.7%)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2023년 624만 6,489개였던 사업체 수와 비교했을 때 상당한 규모의 상승이다. 더불어, 이들 사업체에 종사하는 인력 역시 2,573만 1,105명으로, 2023년 2,544만 5,897명 대비 28만 5,208명(1.1%) 증가하며 고용 창출 효과도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수치는 전반적인 경제 활동의 활력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증가는 특정 형태의 사업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직 형태별로는 개인사업체에서 12만 7천 개(2.6%) 증가했으며, 비법인단체 역시 1만 개(8.9%) 늘어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거나 유연한 운영이 가능한 사업 형태에서 새로운 창업과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종사자 수 역시 회사이외법인에서 19만 8천 명(4.5%), 회사법인에서 15만 8천 명(1.4%), 그리고 비법인단체에서 5만 3천 명(6.0%) 증가하며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조직에서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또한, 종사자 규모별로 살펴보면, 1~4명 규모의 소규모 사업체에서 15만 2천 개(2.8%) 증가하며 영세 자영업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종사자 규모별 종사자 수에서는 300명 이상 사업체에서 34만 7천 명(8.9%)이, 100~299명 규모의 사업체에서도 16만 3천 명(6.5%)이 증가하며 대규모 사업장의 고용 창출 능력 또한 간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이는 경제 성장 과정에서 소상공인부터 대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경제 주체들이 각자의 역할에 맞춰 성장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결과이다.
이처럼 전국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전반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개인사업체와 소규모 사업체의 성장 및 고용 증가는 경제의 외연을 확장하고 내수 활성화에 기여할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대규모 사업장의 종사자 증가 역시 산업 구조의 고도화와 혁신을 이끌어낼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증가세가 지속되고, 특히 고부가가치 산업 및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인 지원과 노력이 수반된다면, 경제 전반의 체질 개선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