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정책 변화로 인해 콩 및 가루쌀 재배 농가들이 수매량 감소 및 경영 비용 상승으로 인한 피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9월 23일 서울신문은 ‘정부 정책 따랐는데… 논콩·가루쌀 재배농 피해 우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러한 상황을 보도하며, 쌓여 있는 수매량으로 인해 내년 콩 생산량이 30% 감축될 수밖에 없다는 점과 정부 정책의 급작스러운 변화가 농기계 비용 등 예상치 못한 손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는 농가들이 정부의 정책적 권유에 따라 특정 작물 재배에 집중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농가들의 우려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콩·가루쌀의 생산 조정 여부는 신규 수요 확대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에 결정될 사안으로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무엇보다 농가 소득 안정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임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2025년산 콩의 경우, 생산량 증가 등을 감안하여 6만 톤을 수매할 계획이며, 가루쌀은 전량을 수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생산량을 줄이기보다는 시장 상황과 농가의 현실을 반영하여 신중하게 접근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더 나아가 농림축산식품부는 국산 콩과 가루쌀의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관련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등 국산 콩 및 가루쌀 시장을 확대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과 시장 확대 노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농가들이 겪고 있는 수매량 증가 및 판로 확보의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결국 농가 소득 안정으로 이어져,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