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의약 산업의 성장 정체가 지적되는 가운데, 우수 연구 성과가 사업화로 이어지지 못하는 구조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한의약 특허기술은행에 등록된 유망 기술들이 실제 산업 현장으로의 이전 및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보건복지부와 한국한의약진흥원이 ‘2025년 한의약 유망기술 설명회’를 개최하며 문제 해결에 나섰다.
이번 설명회는 한의약 특허기술은행에 축적된 우수한 특허 기술들을 기업들에게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맞춤형 상담을 통해 기술 사업화를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한의약 특허기술은행 사업은 한의약 분야 연구개발에서 확보된 지식재산의 산업적 활용을 유도하기 위해 기술가치평가 및 기술거래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9월 23일 aT센터에서 열린 이번 설명회에는 보건복지부, 한국한의약진흥원을 비롯하여 가천대, 경희대, 대구한의대, 원광대 등 유관 대학 및 100여 개의 한의약 산업 관련 기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천연물 기반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삼릉 추출 조성물 △하수오를 포함하는 탈모예방, 발모 촉진 및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조성물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복분자 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피부 노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등 9가지 유망 기술이 발표되었다.
특히 이번 설명회의 핵심은 사전에 기업들의 기술 수요를 파악하고, 현장에서 기술 보유자와 기업 간의 1대 1 상담을 통해 실제적인 기술 이전 및 사업 협력 가능성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는 점이다. 이는 기존의 기술 소개 중심에서 벗어나, 수요와 공급을 직접 연결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정영훈 한의약정책관은 “이번 설명회가 한의약 특허기술은행에 등록된 우수 특허 기술과 기업을 직접 연결하여 한의약 산업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부는 앞으로도 한의약 특허기술은행을 중심으로 한의약 기술 사업화가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실질적인 기술 이전과 사업화로 이어져, 잠재력 있는 한의약 기술들이 산업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꽃 피우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