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합뉴스 보도를 통해 질병관리청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민들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이러한 보도와 관련하여 두 건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적발 및 인지했으며, 관련 법령 및 지침에 따라 후속 조치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청이 올해 인지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두 건이다. 첫 번째 사례는 희귀질환 환자 정보 10명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책자가 유출된 경우이다. 이는 A재단 주관 심포지엄에서 외부 교수 B가 작성한 자료에 환자 정보가 기재된 것을 질병관리청이 인지하면서 드러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해당 책자를 즉시 회수하고, 유출 사실을 관련 기관에 통지 및 신고했으며, 관련자 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두 번째 사례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지의 개인정보 48명 분이 다른 사람에게 잘못 발송된 경우이다. 개인별 발송되어야 할 결과지가 오류로 인해 다른 주소지로 발송되었으며, 질병관리청은 즉시 해당 URL을 차단하고, 유출 사실을 통지했으며 관련자 교육을 시행했다.
질병관리청은 이번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전산 장애나 사이버 공격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또한, 주민등록번호 등 고유 식별 번호나 전화번호와 같은 민감한 정보가 유출된 사실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사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은 개인정보 보호 체계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이상 행위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개인정보 처리 시스템을 운용하는 모든 부서를 대상으로 전수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더불어 ▲전 직원을 대상으로 개인정보 보호 교육을 실시하며, 특히 실제 사고 사례를 포함하여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한 절차를 재교육하는 등 개인정보 보호 조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질병관리청의 적극적인 재발 방지 노력은 향후 유사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국민들의 개인정보 신뢰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