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국민들이 소방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신뢰와 기대를 보내고 있는 시기이지만, 동시에 미래의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재난에 대한 불안감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방청은 ‘국민 안전 최우선’이라는 원칙 아래, 미래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비와 현장 역량 강화를 통해 국민적 기대에 부응하고 내부 역량을 결집하려는 노력을 주문하고 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최근 핵심 참모들과 함께 가진 ‘주요 정책 토론’에서 향후 소방의 지휘 방향을 제시하며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토론은 단순히 행정적인 보고가 아닌,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에 발맞춰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의 소방 플랫폼을 구축하고, 재난 발생 이전에 위험을 감지하고 예측하여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는 ‘선제 대응형 소방’ 실현을 구체적인 방안으로 제시했다.
올해 발생했던 대형 산불 사례는 지휘체계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김승룡 직무대행은 산불 대응에 있어 공중 자원은 산림청이, 지상 대응은 소방이 강점을 가지고 있음을 명확히 하며, 산림청과의 역할 분담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현장 중심의 정교한 지휘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복잡한 재난 상황에서 각 기관의 전문성을 살려 유기적으로 협력함으로써 인명 및 시설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정신적인 측면까지 아우르는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버티는 강인함’에서 ‘회복하는 강인함’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김승룡 직무대행의 언급은, 소방공무원들이 겪는 심리적 부담을 인지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적극적인 지원책 마련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설문, 선별, 상담, 진료로 이어지는 단계별 마음 건강 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이를 지속 가능한 제도로 정착시키겠다는 방침은 현장 활동의 근간이 되는 소방공무원의 건강과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기후위기로 인해 재난이 점차 복잡해지고 예측 불가능성이 높아지는 현 상황에 대한 대응책 마련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관행에서 벗어나 혁신적이고 변화된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공감대 하에, 소방은 능동적으로 움직여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점에 뜻을 모았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소방의 본연의 역할이 현장 대응 역량을 끌어올리는 것이며, 이는 직무대행으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핵심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겸손하고 세심하게 직원들과 동고동락하며 마음으로 함께하는 리더십을 실천하겠다고 다짐했다. 궁극적으로 내부 구성원과의 깊은 연대와 신뢰를 바탕으로, 국민들에게 더욱 든든하고 강한 소방의 모습을 보여주겠다는 약속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