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남도 지역에 산재한 마한 문화유산이 세계유산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 본격화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유산들이 지닌 진정한 가치를 발굴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맞춰 이를 알리는 데에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권택장)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전라남도(도지사 김영록)와 함께 「전라남도 마한 문화유산의 세계유산적 가치」를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 대회는 마한 문화유산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방안을 모색하고, 그간 축적된 학술 성과를 공유함으로써, 지역 문화유산의 잠재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와 전라남도가 주최하고, 전라남도 문화재단과 국립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주관하는 행사로, 오는 9월 25일부터 26일까지 국립목포대학교 70주년 기념관(전남 무안군)에서 열린다.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이번 자리에서는 전라남도 마한 유적의 독자적인 학술 성과를 발표하고, 이러한 성과들이 어떻게 세계유산의 보편적 가치와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학술대회 첫날인 25일에는 께리아 짜우 손 국제박물관협의회(ICOM) 캄보디아 의장의 기조강연 「캄보디아 고대 유적과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의 최근 동향과 국제 협력」을 시작으로, 마한 고분군의 구조적 특징과 축조 기법, 옹관고분의 의미 등에 대한 국내 연구 결과가 발표된다. 전용호 국가유산청 연구사는 분구 축조 기법과 다장 중심의 마한 고분군을, 최영주 선문대학교 연구사는 석실 중심의 가치를, 오동선 국립순천대학교 연구사는 옹관고분의 중요성을 각각 조명한다. 더불어 중국 양저 유적과 일본 모즈·후루이치 고분군의 사례를 통해 동아시아 고대 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최신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마한 유적과의 비교 분석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날인 26일에는 배기동 전 국제박물관협의회 아시아태평양 지역연합(ICOM ASPAC) 회장의 기조강연 「한반도 영산강유역 마한문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전략」이 마련된다. 이후 박해현 초당대학교 연구사는 문헌을 통해 본 마한의 가치를, 김주호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 연구사는 생산유적의 중요성을, 이동희 인제대학교 연구사는 생활·제의유적의 가치를 분석한다. 홍보식 국립공주대학교 연구사는 동아시아 고분 유산과의 비교를 통해 마한 고분(군)의 탁월한 가치를 강조할 예정이다. 각 주제 발표 후에는 이정호 호남고고학회장과 신희권 이코모스(ICOMOS,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사무총장이 좌장을 맡아 종합토론을 진행하며, 마한 유적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행사 당일 현장 등록을 통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소는 이번 학술대회를 기점으로 전라남도 마한 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시키고, 향후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학술적·행정적 기반을 더욱 공고히 다져나갈 방침이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면, 마한 문화유산은 그동안 가려져 있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인의 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