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 고질적인 장시간 노동 관행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근로자의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생산성 저하 및 기업 경쟁력 약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는 <실노동시간단축지원법> 제정을 올해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법 제정을 통해 실질적인 노동시간 단축과 장시간 노동 근절을 위한 정부 지원의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해당 제정안은 노동계, 경영계, 전문가 및 관련 부처 간의 심도 깊은 논의를 거쳐 구체적인 내용을 확정하게 된다. 이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주 4.5일제 도입과 같은 노동시간 단축을 추진하는 기업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산 또한 확보했다. 내년도 예산안에 324억 원을 반영하여 ‘워라밸+4.5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기업에는 장려금을 지급하며, 더 나아가 노동시간 단축이 신규 채용으로 이어질 경우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교대제 개편이나 장시간 노동 사업장과 같이 취약 분야에 대한 지원을 집중하여 더 많은 기업들이 노동시간 단축 정책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정부는 주 4.5일제 도입과 같은 법정노동시간 단축을 추진함에 있어, 사회적 대화를 통해 현장의 혼란과 갈등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실노동시간단축지원법> 제정과 관련 지원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시행된다면, 장시간 노동 관행이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일과 삶의 균형이 조화를 이루는 건강한 노동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근로자의 만족도 향상과 더불어 기업의 생산성 증대 및 지속 가능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