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통일을 위한 교육’에서 벗어나 ‘통일을 만들어 가는 교육’으로의 전환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은 오는 9월 24일(수) 오후 3시, 총신대학교 주기철기념홀에서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 관계자 토론회’를 개최하며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번 토론회에는 고영환 국립통일교육원장을 비롯하여 전문가, 지역 통일교육센터 관계자, 통일교육위원, 통일관, 공공부문 통일 강사 등 60여 명이 자리를 함께한다. 이들은 정부의 국정과제인 ‘국민과 함께하는 한반도 평화·통일정책 추진’의 일환으로, 통일 교육을 한 단계 발전시키기 위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은 기존의 틀을 넘어선 새로운 교육 체계이다. 이는 단순히 통일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넘어, 평화적 공존과 민주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함양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국민 주도의 참여와 합의를 이끌어내어, 능동적으로 통일을 만들어가는 시민 의식을 고취하고자 한다.
토론회는 총 2개 마당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마당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대북·통일정책과 통일교육의 함의’를 주제로, 정부 정책과 통일 교육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두 번째 마당에서는 본격적으로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 자체를 심도 있게 다룬다. 토론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은 △평화적 공존과 협력의 가치를 사회 전반에 확산시키고 △참여하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며 △사회적 대화를 통한 합의 형성 과정을 촉진하는 등의 구체적인 교육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통일교육원은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과 결과들을 종합하여 ‘평화·통일·민주시민교육 기본방향’ 수립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향후 이 새로운 교육 체계가 현장에 성공적으로 안착된다면, 국민들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평화적 공존과 민주 시민 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국민 주도의 통일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