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 조달 시장의 경쟁력과 품질을 한층 끌어올리고, 비효율을 야기하는 불필요한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을 시작한다. 이는 2025년 9월 23일 개최된 「제2차 민·관 합동 조달현장 규제혁신위원회」를 통해 발표된 주요 과제들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실질적인 개선을 이루어내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기존 공공 조달 시장은 일부 경직된 규제들로 인해 시장의 역동성을 저해하고, 혁신적인 기업들의 참여를 제약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또한, 이러한 규제는 결과적으로 공공 서비스의 품질 저하나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왔다. 「제2차 민·관 합동 조달현장 규제혁신위원회」는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정면으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위원회는 현장에서 직접 발생하는 애로사항을 면밀히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규제 개선 과제를 도출하는 데 집중했다.
이번 회의를 통해 제시된 핵심적인 해결책은 바로 ‘불필요한 규제의 폐지’와 ‘경쟁력 및 품질 향상’이라는 두 가지 축으로 요약된다. 구체적으로는, 현장에서 불필요하다고 지적된 규제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폐지하거나 완화함으로써 기업들이 보다 자유롭고 효율적으로 조달 시장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는 신기술을 보유한 유망 기업이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중소기업들이 공공 조달 시장에 진입하는 데 걸림돌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단순히 규제를 완화하는 것을 넘어, 조달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최종적으로는 공공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함께 추진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조달 시장을 만들어나갈 방침이다.
이러한 규제 혁신 노력은 공공 조달 시장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불필요한 규제가 철폐됨으로써 시장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 경쟁이 활성화되면,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가 더욱 원활하게 공공 부문에 도입될 수 있다. 이는 곧 국민들이 보다 나은 품질의 공공 서비스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낼 것이다. 또한, 조달 과정의 효율성 증대는 예산 집행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2차 민·관 합동 조달현장 규제혁신위원회」의 결정들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경우, 한국의 공공 조달 시장은 더욱 역동적이고 경쟁력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하며, 국민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