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 연휴가 예년보다 길어지면서 선물 포장재와 같은 생활폐기물 배출량이 일시적으로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주요 고속도로 및 휴게소 등에서의 쓰레기 무단 투기 또한 평상시보다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부는 ‘추석 연휴 생활폐기물 관리대책’을 수립하고, 전국 지방자치단체 및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생활폐기물 관리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관리대책의 핵심은 추석 연휴 기간에도 생활폐기물 수거 체계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폐기물 관련 시설 역시 가동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지자체는 연휴 기간 동안 ‘생활폐기물 처리상황반(전국 약 500여 개)’과 ‘기동청소반(시군구별 1~3개)’을 운영하여 수거되지 않거나 길거리에 방치된 생활폐기물에 신속하게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상습적인 쓰레기 투기 우려 지역에 대한 순찰 및 수거 활동도 강화한다. 각 아파트 및 주거 지역별 생활폐기물 수거일은 지방자치단체 누리집이나 통장 회의, 방송 등을 통해 상세히 안내될 예정이다.
한편, 명절 선물세트 등 과대포장이 우려되는 제품에 대한 포장 규정 준수 여부 점검도 연휴 시작 전부터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난 15일부터 오는 10일까지 대규모 점포 등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점검에서 과대포장 의심 제품이 발견될 경우, 지방자치단체는 해당 제조사에 포장검사 명령을 내려 포장 공간 비율 및 포장 횟수 위반 여부를 측정하게 된다. 기준을 위반한 제조사에는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환경부는 또한 재활용 시장 관리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오는 26일에는 서울역 인근 회의실에서 폐플라스틱 재활용 업계 관계자, 전문가 및 유관기관이 참석하는 간담회를 개최하여 폐플라스틱 재활용 업체의 생산품 또는 원료 비축 필요성, 수출 및 신규 수요처 발굴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올바른 재활용 폐기물 분리배출 방법을 도로, 휴게소 등 다중이용시설 전광판과 지방자치단체 누리집,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올해 추석 연휴는 최장 10일로 매우 길어 생활폐기물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국민 모두가 쾌적한 추석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생활폐기물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결실을 맺어 길어진 연휴에도 불구하고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이 유지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