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멈춰 예술을 만날 기회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국립극단은 이러한 시민들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 예술 공연을 선보인다.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진행되는 이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도심 한복판에서 예상치 못한 예술과의 만남은 시민들에게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극단은 1950년 창단 이래 한국 연극계를 선도해 온 기관으로서, 꾸준히 수준 높은 작품을 선보여 왔다. 올해는 특히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표방 아래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인문학’ 강연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료 프로그램들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넓히고 극장의 문턱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취지를 잘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을 알리는 안내 방송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추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던 시민들은 점차 공연에 몰입했다. 단 한 명의 연주자만이 무대에 올랐지만, 아름다운 가야금 선율과 다채로운 소품들은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변모시켰다. 특히 그림을 그리거나 가위로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등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다.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연주자와 관객이 소통하고, 관객은 공연의 일부가 되는 경험은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적 감동을 선사했다.
한 관객은 아이들과 함께 명동에 왔다가 우연히 공연을 보게 되었다며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고 만족감을 표현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들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가 있는 날’의 정신과도 맥을 같이 한다. 거리 예술 공연은 극장이라는 공간의 제약을 넘어, 시간을 내어 극장을 찾기 어려운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관객으로 끌어들이며 예술이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돕는다.
공연은 작품별로 약 20~40분으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하여 부담 없이 관람하기 좋다.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으며, 폭우 예보 시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남은 ‘문화가 있는 날’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에 열릴 예정이다. 국립극단은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에게 문화 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명동을 찾기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의 문화 공간에서 제공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확인할 수 있다. 할인 혜택, 국·공립 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도서관의 ‘두 배로 대출’ 등 다양한 항목별 정보를 통해 개인에게 맞는 문화 활동을 선택할 수 있다. 바쁜 현대 사회 속에서 잠시 만나는 작은 무대는 일상에 지친 시민들에게 소중한 쉼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