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자연생태계가 과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훼손되었던 먹이사슬 구조를 회복하고, 특정 생물의 과밀화로 인한 종 다양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복원과 서식지 보호 활동에 주력해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국립공원이 균형 잡힌 생태계 먹이사슬을 형성하고 있으며, 야생생물 간의 치열한 먹이경쟁이 살아있는 증거로 포착되었다.
최근 국내 최초로 공개된 무인카메라 영상들은 이러한 생태계 회복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2025년 6월 16일 소백산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여우가 고라니 새끼를 사냥하는 장면이 포착되어, 여우가 야생에서 상위 포식자로서 소형 포유류의 개체 수를 조절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이 명확히 확인되었다. 이는 파괴되었던 먹이사슬의 복원과 생태계 균형 유지에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또한, 2024년 6월 18일 속리산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수리부엉이가 고슴도치를 사냥하는 장면이, 2025년 2월 18일 소백산에서는 같은 Ⅱ급인 담비가 멧토끼를 사냥하는 모습이 각각 포착되었다. 이와 더불어 먹이사슬 하위 단계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산양이 진달래를 뜯어 먹으며 생태계 균형에 기여하는 모습(2023년 4월 6일 속리산)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반달가슴곰이 넓은 활동 반경을 통해 풀씨 등을 섭취하고 씨앗을 퍼뜨리는 종자산포자로서의 역할(2022년 5월 14일 지리산)을 수행하는 장면들도 촬영되었다. 더 나아가 2024년 5월 1일 덕유산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광릉요강꽃의 숲속 개화 장면이 포착되는 등 다양한 식물들이 생태계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음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영상들은 국립공원이 서식지 보호 활동과 생물종 복원 사업을 통해 먹이사슬 전 과정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건강한 생태계로 회복되었음을 증명한다. 현재 국립공원은 국내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69%인 195종이 서식하는 등 높은 생물다양성을 자랑하는 보호지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주대영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야생생물의 균형 있는 먹이사슬이 확인된 것은 국립공원이 안정적인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앞으로도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과 서식지 보전을 통해 미래세대가 건강한 자연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이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생태계 균형을 회복하고 야생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것이 미래 세대를 위한 필수 과제임을 강조하는 메시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