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공 건설사업관리 용역 입찰 시장에서 발생한 입찰 담합 및 뇌물 공여 행위는 공정한 경쟁 환경을 심각하게 훼손하며 관련 시장 질서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조달청은 이러한 불공정 행위에 연루된 11개사에 대해 최대 2년간 공공입찰 참가 자격을 제한하는 강력한 조치를 내렸다. 이는 단순히 일부 기업에 대한 제재를 넘어, 공공 입찰 시장 전체의 신뢰를 회복하고 향후 유사한 행위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이번 사태는 2024년 검찰 수사와 2025년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2021년 말부터 2022년까지 진행된 15건의 공공건물 건설사업관리 용역 입찰 과정에서 9개사가 입찰 담합에 가담했으며, 2개사는 뇌물을 공여한 사실이 드러났다. 입찰 담합에 가담한 업체들은 사전에 모임을 갖고 각 입찰 건별로 낙찰 예정자를 미리 정해두고, 다른 업체들은 경쟁에 참여하지 않기로 공모했다. 또한, 경쟁을 인위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형식적인 입찰만 참여하는 들러리 업체를 섭외하는 등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행위가 만연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부 업체는 심사 과정의 공정성을 무너뜨리기 위해 심사위원들에게 뇌물을 제공하는 비리까지 저지른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조달청은 이번에 적발된 11개사와 이들 업체의 대표자들에게 최소 3개월에서 최대 2년에 이르는 입찰 참가 자격 제한 처분을 부과했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이들 업체가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각종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모든 공공 입찰에 참여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더불어, 조달청은 입찰 담합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15개 수요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공동 손해배상 소송을 추진할 계획이다. 강신면 기술서비스국장은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입찰 담합 및 뇌물 공여 행위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 및 규정에 따라 엄중하게 제재하여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히며, 앞으로도 공공 입찰 시장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번 조치가 불법적인 담합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앞으로 공공 입찰 시장에서 건전한 경쟁 환경이 조성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