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과의 관계가 더욱 중요해지는 시대에 정부 간의 공식적인 외교 활동만으로는 국민들의 이해와 지지를 얻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국민 개개인이 문화와 예술을 통해 국가에 대한 호감과 신뢰를 쌓는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외교부는 이러한 공공외교 활동을 국민들이 직접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제7회 공공외교주간’을 개최하며, 이를 통해 국가 간의 실질적인 협력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외교부와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주관하여 9월 8일부터 27일까지 KF 글로벌센터, 각국 대사관, 서울광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진행되는 축제다. 이 행사는 우리나라의 공공외교 현장과 다채로운 문화를 한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 폭넓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행사의 목적은 참가자들이 상호 간의 문화를 깊이 이해하고 교류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의 우호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데 있다.
특히 이번 공공외교주간에서는 한국과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콜롬비아와의 문화적 교류를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워크숍이 눈길을 끌었다. 지난 9월 22일 진행된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 워크숍은 커피라는 보편적인 매개를 통해 두 나라 국민들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는 강연을 통해 콜롬비아 커피의 역사와 재배 과정, 그리고 한국과의 역사적 유대감을 소개했다. 콜롬비아는 3개의 산맥과 화산재 토양 덕분에 연중 커피 재배가 가능하며, 손으로 수확하고 100% 아라비카 원두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맛을 자랑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인스턴트 커피 개발 이후 세계 대전을 거치며 수요가 증가했고, 현재는 커피 재배 경관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관광 산업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워크숍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콜롬비아 전통 모자를 써보고, 주한 콜롬비아 대사의 설명을 경청하며 커피의 신비로운 세계에 빠져들었다. 이어서 콜롬비아 커피 전문가인 강병문 씨가 직접 커피를 내리며 워시드 방식과 같은 커피 제조 과정에 대해 쉽게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두 종류의 콜롬비아 커피를 시음하며 각자의 취향을 발견하고, 함께 참여한 가족, 친구들과 커피 맛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등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 자리에서 콜롬비아가 6.25 전쟁 당시 파병으로 한국을 도왔던 나라임을 상기시키며, 양국 간의 더욱 긴밀한 관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공공외교주간은 이처럼 문화 체험을 통해 국민들이 자국의 외교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외교부는 내년도 예산안에서도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개최되거나 개최 예정인 다양한 국제 행사와 더불어, 한 달여 뒤 열리는 APEC 회의 개최국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민간 외교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번 공공외교주간에 진행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들이 공공외교의 의미를 깊이 깨닫고, 스스로 공공외교의 주체라는 인식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국민적 참여와 지지야말로 지속 가능하고 강력한 국제 관계를 구축하는 근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