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우리 문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고조시키고, 문학이 지닌 사회적 연대와 정서적 치유의 가치를 확산시키겠다는 야심찬 목표 아래 기획되었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후 높아진 국민적 관심을 바탕으로, 이번 축제는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국립한국문학관 특별전, ‘문학나눔’ 사업 등 국내 주요 문학 행사들을 하나의 통합된 틀 안에서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문학관, 도서관, 서점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며 국민들의 일상 속으로 문학을 확산시키려는 시도이다.
이번 문학축제의 핵심 행사 중 하나인 ‘문학주간 2025’는 ‘도움―닿기’라는 주제를 내걸고, 문학이 각박한 현실 속 삶의 균열을 비추고, 서로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름판’ 역할을 하기를 염원했다. 이는 급변하는 시간 속에서 잠시 멈추어 성찰하고, 타인의 삶에 기대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겠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특히 ‘문학주간 2025’의 주제 스테이지인 <읽고 만나고 쓰는 마음>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작가들의 진솔한 경험담이 공유되어 깊은 울림을 주었다. “때로는 가장 수치스러운 것을 써야 글이 살아난다”거나 “문장이 삶으로 증명 가능한지 자문해 보라”는 조언은 글쓰기가 단순히 기술이 아닌, 자기 고백이자 용기 있는 행동임을 시사했다. 또한 “예술가가 아니라 전달자라는 위치에서 글을 써 보라”는 말은 글쓰기에 대한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는 실질적인 조언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자신을 넘어선 세계와의 만남을, 글을 읽는 독자에게는 타인의 삶을 이해하는 통로를 열어주었다.
야외 프로그램 중 일부는 기상 악화로 인해 취소되는 아쉬움이 있었지만, ‘포켓 실크스크린 책갈피 만들기’와 같은 체험 프로그램은 참가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비록 작은 체험이었지만, 직접 완성한 책갈피는 오래도록 기억될 만한 결과물이었다.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는 첫 회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넘어, 전국 단위에서 생활 속 문학 축제로 자리매김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는 전시, 공연, 체험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국내외 작가 초청 행사, 토크, 낭독 무대, 독서대전 등 풍성한 문화 행사가 연이어 펼쳐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필자가 거주하는 고양시에서는 10월 ‘2025 고양독서대전’이 개최될 예정이며, 9월 독서의 달을 맞아 지역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연계 행사가 진행 중이다. 또한 ‘2025 책 읽는 대한민국’ 캠페인 또한 이번 문학 축제와 발맞춰 9월 말, 서울어린이대공원에서 북토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궁극적으로 문학은 책장 속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적극적으로 읽고, 만나고, 쓰며 함께 향유할 때 그 진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이번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가 계기가 되어, 더 많은 시민이 가까운 도서관과 문학 관련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책 읽는 즐거움 속에서 서로의 삶을 나누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