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무총리의 미국 블룸버그 통신 인터뷰 발언을 두고 한국의 대미 투자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해석이 제기되었으나, 국무총리실은 해당 발언이 투자를 유보하겠다는 의미가 아니라고 명확히 선을 그었다. 이 같은 해명은 한국의 대미 투자 환경에 대한 불필요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해석을 바로잡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발단은 지난 9월 24일, 김민석 국무총리가 블룸버그 통신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김 총리는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한국 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미국 입국을 매우 꺼리게 되는 상황을 설명했다. 인터뷰에서 김 총리는 “그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는 사실상 일이 진전될 수가 없고 특히나 이번 구금사태는 한국 국민 일반뿐만 아니라 거기에 구금됐던 한국 노동자들한테는 충격이 굉장히 컸기 때문에 그 안전에 대한 담보 없이는 본인들이나 가족들이나 다시 그런 것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국에 입국하기를 굉장히 꺼리는 상황”이라고 언급하며, 비자 문제와 더불어 한국 노동자들의 안전 문제 역시 해결되어야 할 주요 과제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국무총리실은 이 발언이 단순히 현지 상황을 설명한 것일 뿐, 미국의 투자를 유보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특히, 김 총리의 발언은 현재 조지아주에서 진행 중인 투자와 관련된 맥락에서 나온 것이며, 한미 양국 간에 논의되고 있는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비자 문제 해결이 지연될 경우, 특정 지역에서의 투자 진행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지만, 국가 차원의 대규모 투자 계획 자체를 포기하거나 유보하겠다는 의미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번 국무총리실의 해명은 한국의 대미 투자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교적, 경제적 파장을 사전에 차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투자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평가된다. 비자 문제와 근로자 안전 문제는 한국 기업과 근로자들이 미국 현지에서 원활하게 활동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며, 이 문제들이 성공적으로 해결될 경우 한국의 대미 투자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비자 발급 절차 간소화 및 안전 보장 강화 방안이 마련된다면, 조지아주 투자는 물론 한미 양국의 경제 협력 전반에 긍정적인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