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우리네 생활 곳곳에서 쓰임새를 찾을 수 있었던 전통 매듭이 잊혀질 위기에 처했었다. 선물 포장 장식을 넘어 팔찌, 목걸이, 귀걸이 등 다양한 패션 아이템으로 변신할 수 있는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 문화 말살 정책과 급격한 산업화의 물결 속에서 그 명맥이 점차 희미해져 갔다. 또한, 매듭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섬유 재료의 습도와 온도에 대한 취약성은 장기 보존을 어렵게 만드는 또 다른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통 매듭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그 명맥을 잇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마침내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문화 보존 노력의 결실 중 하나로, 국가무형문화재 매듭장 기능 보유자였던 정연수 명장의 제자들이 현대적인 감각으로 전통 매듭을 재해석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그중 김희진 작가의 작품 ‘영원에서 영원으로’는 이러한 노력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 매듭의 재발견은 이미 세계적인 패션 트렌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주인공 진우가 착용한 전통 매듭으로 만든 국화팔찌가 유명세를 타면서, 고가의 명품 팔찌를 대신할 ‘잇템’으로 떠올랐다. 소셜 미디어와 유튜브 등에서는 매듭 팔찌를 직접 만드는 방법에 대한 영상들이 넘쳐나며 대중적인 관심을 입증하고 있다.
전통 매듭은 단순히 아름다운 장식으로서의 가치를 넘어선다.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의 끈목을 꼬거나 짜서 다양한 모양을 만들어내는 수법인 매듭은, 끈목을 짜는 ‘다회장’이라는 장인의 기술과 인내로 탄생한다. 끈목은 실을 합사하여 만든 끈으로, 과거에는 나무껍질이나 초목의 넝쿨, 짐승 가죽 등을 이용하여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끈목을 두세 가닥으로 꼬거나 엮으면 더욱 질기고 튼튼해질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형태미까지 갖추게 된다. 매듭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맞닿아 있을 정도로 깊다. 인류가 정착생활을 시작하며 실과 끈을 만들 때부터 그 기원을 찾아볼 수 있으며, 신석기 시대 토기에서도 줄무늬를 감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된다. 청동기 시대에는 실을 꼬는 데 사용된 가락바퀴가 현대의 끈 짜기 기구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특히 고려 시대에는 불교 문화의 융성과 함께 사찰을 중심으로 불교 용품에 매듭 장식이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매듭의 제작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조선 시대로, 이때는 매듭의 전성기라 할 만큼 다양한 형태의 매듭이 만들어졌으며, 매듭장 또한 생사, 합사, 연사, 염색 등 각 공정별로 세분화되어 전문화되었다. 조선 시대의 매듭은 장신구뿐만 아니라 노리개, 복식의 끈목, 국악기, 가마, 실내 장식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예단을 담은 보자기나 함 역시 매듭으로 장식되었으며, 가마나 깃발에는 갖가지 실로 꼬아 술을 단 ‘유소’가 장식되어 화려함을 더했다. 또한, 한복과의 조화 역시 빼놓을 수 없다. 남성들은 매듭 허리띠로 포인트를 주었고, 여성들은 옷고름이나 허리춤에 매듭으로 엮은 노리개를 달아 멋을 냈다. 신윤복의 ‘미인도’에서도 여인이 옷고름에 단 노리개를 만지작거리는 모습이 묘사되어 당시 매듭의 활용도를 짐작케 한다.
한국 전통 매듭은 동서양 공통으로 사용되어 온 끈과는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지닌다. 세 개 이상의 점이 한 선 위에 교차하며 모양을 형성하고, 앞면과 뒷면이 같아야 하는 점, 대부분 두 가닥으로 맺어지며 좌우대칭을 이루는 구성 등이 그러하다. 또한, 쉽게 맺어지고 쉽게 풀 수 있어야 하면서도, 일부러 풀기 전까지는 풀리지 않을 정도로 튼튼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래매듭, 생쪽매듭, 나비매듭, 국화매듭 등 기본적인 것만 해도 30여 종에 이르는 다양한 종류의 전통 매듭은 전국적으로 생활 전반에 걸쳐 사용되었으며, 지역별로도 특색 있는 형태로 발전해왔다.
이처럼 오랜 역사와 다양한 쓰임새를 가진 한국 전통 매듭은 현대적인 재해석과 보존 노력을 통해 다시 한번 우리 생활 속으로 스며들고 있다. K-매듭이라 불리며 전 세계 사람들을 잇는 문화적 가치로 인정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전통 매듭의 부활은 단순히 과거의 유물을 되살리는 것을 넘어, 우리 고유의 멋과 실용성을 겸비한 새로운 패션 아이템으로서의 가능성을 활짝 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