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 내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며 당초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오는 2025년 1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 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나섰다. 이는 그동안 연구개발특구 내에서 AI 기업을 키우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기존에도 연구개발특구는 혁신적인 과학기술 연구와 창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왔으나, 특히 빠르게 변화하고 경쟁이 치열한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뚜렷한 성과를 창출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에는 부족한 대규모 투자 유치,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 확보의 어려움, 그리고 우수 인재 확보 경쟁 심화 등 복합적인 문제들이 자리 잡고 있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연구개발특구를 인공지능 혁신의 요람으로 만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AI 글로벌 빅테크 육성 사업’을 제시했다.
이번 사업은 연구개발특구 내에서 세계적인 수준의 인공지능 기술을 보유한 대기업, 즉 ‘AI 글로벌 빅테크’를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연구성과혁신관 주재 하에 연구개발특구 내 인공지능 확산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추진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연구개발특구는 단순히 연구 성과를 내는 공간을 넘어, 세계 시장을 선도할 인공지능 기업을 배출하는 핵심 기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국내 인공지능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관련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