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결합한 ‘워케이션(Workation)’이라는 개념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청년 유입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농업·농촌에서의 워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윤동진, 이하 농정원)이 이러한 트렌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FATI(Farm Trend&Issue)’ 24호 보고서를 최근 발표하며, 농업·농촌 워케이션에 대한 온라인 언급량과 주요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는 단순히 휴식을 취하는 것을 넘어, 업무와 지역 경험을 동시에 추구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음을 방증한다.
농정원이 발표한 이번 보고서는 농업·농촌 워케이션과 관련된 온라인상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해당 트렌드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농촌 워케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온라인 언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워케이션을 단순히 도시를 벗어나 한적한 곳에서 시간을 보내는 행위를 넘어, 지역의 문화와 농업 활동을 직접 체험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영감을 얻고자 하는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치유’, ‘힐링’, ‘자연’, ‘귀농’ 등과 같은 키워드가 빈번하게 등장하며, 도시 생활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연 속에서 재충전하려는 욕구가 워케이션을 선택하는 주요 동기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농정원은 농업·농촌 워케이션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보고서에서 제시된 주요 키워드 분석은 농업·농촌 워케이션이 단순히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 모델로 발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 농업·농촌 워케이션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농촌 지역의 고령화 및 인구 감소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한편, 도시민들에게는 새로운 형태의 휴식과 자기 계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흐름과도 맥을 같이 하며, 농업·농촌이 단순한 생산 공간을 넘어 복합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공간으로 변모할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