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생물학 분야에서 국제적인 규범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대한민국이 국제 사회의 논의를 본격적으로 주도하며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9월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한국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연수회(워크숍)를 개최했다. 이번 연수회는 합성생물학 분야의 국제 권고문 초안을 마련하고, 관련 국가 간 협력 관계망을 강화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번 연수회에는 총 8개국에서 800여 명에 달하는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합성생물학 분야의 미래와 국제적인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참여자들은 합성생물학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잠재적 기회와 위험 요소를 공유하고, 책임 있는 연구 개발 및 활용을 위한 국제적인 원칙과 기준을 정립하는 데 힘을 모았다. 이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합성생물학 기술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과 더불어, 효과적인 규제 및 관리 체계 마련의 중요성을 방증한다.
대한민국은 세계 최초로 「합성생물학 육성법」을 제정(2025년 4월 예정)하며 합성생물학 분야 육성과 발전은 물론, 관련 국제 협치를 선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왔다. 이러한 국내 법적 기반 마련은 국제 무대에서 한국이 합성생물학 관련 글로벌 거버넌스를 주도하는 데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OECD 공동 연수회 개최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한국이 합성생물학 분야의 국제 규범 논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준다.
이번 연수회를 통해 마련된 국제 권고문 초안은 향후 합성생물학 분야의 국제 협력 관계망을 더욱 강화하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또한, 법제화된 육성 정책과 함께 국제 논의를 주도함으로써, 합성생물학 기술이 인류의 삶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책임감 있게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한국의 주도적인 역할은 합성생물학 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국제 사회의 안전망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