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공지능(AI)은 ‘새끼 호랑이’에 비유될 만큼 강력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그 다룸새에 따라 인류 앞날에 전혀 다른 미래를 가져올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AI는 저성장·고물가와 같은 난제를 해결할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기술 격차는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용하여 전 세계적인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인류 전체의 이익을 위한 협력과 국익을 위한 경쟁의 조화로운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모두의 AI’, ‘인간중심의 포용적 AI’라는 기치 아래, 대한민국은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가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주도하는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다. 이는 위기 속에서도 세계 평화와 공동 번영의 길을 모색해 온 유엔의 역사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대한민국은 AI가 가져올 급격한 변화를 인류가 재도약할 수 있는 발판으로 삼고자 한다. 이러한 시대적 사명감을 바탕으로, AI 기술의 혜택이 특정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전 인류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국제적 공조를 이끌어 나갈 전망이다. 궁극적으로 AI 시대를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동 번영의 기회로 전환시키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