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자살사망률이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사망자는 1만 4872명으로 전년 대비 894명(6.4%) 증가했으며, 이는 하루 평균 40.6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셈이다. 특히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나타내는 자살사망률은 29.1명으로 전년보다 6.6%(1.8명) 늘어났다. 이러한 수치는 국제적으로도 심각한 수준으로,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OECD 평균 10.8명의 2.4배에 달하는 26.2명을 기록하며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불명예를 안았다.
자살률 증가는 특정 집단에 국한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생애전환기에 접어든 중장년층이 겪는 복합적인 어려움이 자살률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실직, 정년, 채무, 이혼 등 생애 주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더불어, 유명인의 자살 사건과 이에 대한 자극적인 보도, 그리고 지역 사회의 정신건강 및 자살 대응 인력 부족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거 외환위기나 대형 재난 이후 발생했던 자살률 급증 사례를 미루어 볼 때, 코로나19 팬데믹이 야기한 사회경제적 여파가 시차를 두고 나타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러한 심각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국가자살예방전략’을 통해 문제 해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2일 발표한 이 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것은 물론, 자살 예방 정책 강화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자살 시도자에 대한 즉각적이고 긴급한 위기 개입 강화 ▲범부처 차원의 취약계층 지원기관 간 연계 체계 구축 ▲지방자치단체에 자살예방관 지정 및 전담 조직·인력 보강 ▲인공지능(AI) 기반 자살 상담 전화 실시간 분석 및 자살 유발 정보 모니터링·차단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이러한 대책의 효과적인 이행과 범정부적 역량 결집을 위해 범부처 자살예방대책 추진본부를 설치하여 정책 추진 동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상원 보건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지난해 자살률이 2011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자살 문제가 매우 심각함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올해 국가자살예방전략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관련 예산과 인력을 확충하여 자살 예방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과 정책 추진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져 자살률 감소라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