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진로와 진학 설계를 돕고, 나아가 지역 및 학교 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안고 추진되어 온 고교학점제에서 현장 안착을 위한 진통이 계속되고 있다. 고교학점제가 본래의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진정한 ‘맞춤형 교육’의 내실화가 과제로 떠올랐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교육부는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현장 안착과 학생 맞춤형 교육의 실질적인 보장을 위한 운영 개선 대책을 마련해 발표하기에 이르렀다.
교육부가 9월 25일(목) 한국교육시설안전원에서 개최된 시도부교육감 회의를 통해 발표한 ‘고교학점제 운영 개선 대책’은 이러한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핵심적인 개선 방안으로는 우선 학생들의 진로 및 진학 설계 지원 강화가 포함된다. 또한, 지역별, 학교별 교육 자원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이와 더불어, 현장에서 가장 큰 부담으로 지적되어 온 출결 처리 및 학생생활기록부 기재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지원 방안 역시 즉시 시행될 예정이다. 이는 교원들의 업무 경감을 통해 실질적인 교육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러한 개선 대책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경우, 고교학점제는 단순한 제도 운영을 넘어 학생 개개인의 잠재력을 발현시키는 ‘맞춤형 교육’의 장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역 간 교육 격차 해소는 모든 학생이 동등한 교육 기회를 누릴 수 있는 교육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출결 처리 및 학생부 기재 부담 완화는 현장 교원들의 사기 진작과 교육 전문성 신장으로 이어져, 결국 교육의 질적 향상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는 이러한 현장 지원 강화와 더불어, 2026년까지 온라인학교 및 공동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원 정원을 추가로 확보하는 등 제도 운영의 근간을 다지는 노력도 병행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