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민의 연령 변화에 따른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분석한 국민이전계정 통계가 발표되었다. 이 통계는 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고, 노동연령층의 잉여 자원이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무상 이전되는 과정, 그리고 현재 세대에서 미래 세대로 자산이 재분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중요한 경제적 분석틀을 제공한다.
2023년 발표된 국민이전계정 결과에 따르면, 총 소비 규모는 1,459.2조 원에 달했으며, 이는 총 노동소득 1,232.8조 원을 초과하는 규모이다. 이러한 소비와 소득의 차이로 인해 총 226.4조 원에 달하는 생애주기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 전체의 소비 수준이 노동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임을 시사한다.
개인별로 살펴보면,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연령 증가에 따라 ‘적자-흑자-적자’의 3단계 구조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생애주기적자는 28세에 흑자로 전환되어 소비보다 소득이 많아지는 시기를 맞이한다. 하지만 이러한 흑자 상태는 오래 지속되지 못하고, 61세에 이르면 다시 적자로 전환되어 소득보다 소비가 더 많은 상황으로 바뀌게 된다. 이는 노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생애주기적자는 상응하는 대가 없이 거래되는 ‘이전’과, 자산 소득에서 저축을 차감한 ‘자산 재배분’을 통해 충당된다. 2023년 기준으로, 노동연령층에서는 총 320.7조 원이 순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184.5조 원은 유년층으로, 131.1조 원은 노년층으로 순이전 되었다. 이는 노동을 통해 경제 활동을 하는 세대가 다음 세대와 이전 세대를 부양하는 구조를 명확히 보여준다.
한편, 자산을 매개로 한 자산 재배분 과정에서는 노동연령층에서 183.5조 원, 노년층에서 48.1조 원의 순유입이 발생했다. 이는 노동연령층과 노년층이 자산 소득 및 저축을 통해 경제적 여유를 확보하거나, 자산의 이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세대 간, 자산 기반의 자원 흐름을 면밀히 분석하는 것은 향후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지속 가능한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