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분기, 89개 인구감소지역의 ‘생활인구’가 월별로 뚜렷한 변동성을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통계청이 2025년 9월 25일 발표한 ’25년 1/4분기 『생활인구』 산정 결과’에 따르면, 이들 지역의 생활인구는 1월 2,577만 명에서 2월 2,022만 명으로 급감했다가 3월에는 2,361만 명으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월에는 303만 명 증가한 반면, 2월과 3월에는 각각 565만 명과 136만 명 감소한 수치로, 명확한 증감 원인 분석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생활인구의 변동은 설명절이 포함된 1월의 특성과 2월의 전년 설 연휴 기저 효과, 그리고 3월의 자연재해 및 개화 시기 지연 등 외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인구감소지역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생활인구의 이러한 월별 증감은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한편, 인구감소지역에 머무는 인구의 체류 특성을 살펴보면, 1분기 평균 체류일수는 약 3.5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1월 3.4일, 2월 3.6일, 3월 3.5일로 조사되었다. 평균 체류 시간은 약 12.2시간(1월 12.5시간, 2월 12.2시간, 3월 11.9시간)으로 집계되었으며, 평균 숙박일수는 약 3.9일(1월 3.4일, 2월 4.1일, 3월 4.1일)을 기록했다. 이는 방문객들이 단기간 체류하면서도 숙박을 동반하는 경향을 보여주며, 지역 내 소비 활동과의 연관성을 시사한다.
체류 인구의 소비 특성 역시 주목할 만하다. 1분기 체류인구의 인당 평균 카드 사용 금액은 약 122천원으로, 1월 120천원, 2월 124천원, 3월 123천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비교적 높은 수준의 소비 지출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인구감소지역의 경제 침체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
이번 통계청의 ’25년 1분기 생활인구 산정 결과는 인구감소지역의 현황을 다각적으로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월별 생활인구 변동의 원인과 체류 및 소비 특성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향후 해당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활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