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세행정 현장에서는 해결되지 못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산재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국민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인공지능(AI) 기반의 차세대 기술 개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관세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2.0 사업’에 착수하며, 관세행정의 미래를 향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었다.
이 신규 연구개발(R&D) 사업은 지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312억 원 규모로 추진되었던 1.0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다. 1.0 사업을 통해 국내 특허 52건, 국내외 논문 340건, 소프트웨어 등록 18건 등의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했으며, 이는 차세대 관세행정 구현 가능성을 높이 평가받았다. 이제 2.0 사업은 2024년 9월부터 2028년까지 총 190억 원을 투입하여 4개의 연구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연구단 공모에는 총 24개의 컨소시엄이 지원하며 평균 6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학계, 연구계, 산업계 전반에서 관세행정 연구개발에 대한 높아진 관심과 기대를 여실히 보여준다. 최종 선정된 4개의 연구단은 세관 현장에서 즉시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본 사업의 핵심 목표는 명확하다. 첫째,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관세행정의 전면적인 구현이다. 둘째,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한 기술 개발이며, 셋째, 사회 안전 확보에 기여하는 첨단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세관 직원과 외부 전문가가 연구개발 전 과정에 참여하여 현장의 실제적인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맞춤형 해결책을 기술적으로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사업 추진 체계는 사업의 중요 사항을 심의하는 사업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연구단 선정 및 관리를 총괄하는 사업단(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속), 실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연구단(커스텀즈랩) 및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경찰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 등이며, 세관 직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사업자문단이 현장의 생생한 의견을 반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을 경우, 관세행정의 효율성은 비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AI 기반의 기술은 불법·불량 물품의 탐지 및 단속 능력을 강화하여 국민 건강과 사회 안전을 더욱 굳건히 할 것이다. 또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던 통관 절차가 간소화되고 자동화되면서 무역 환경의 신뢰도와 편의성이 증진될 것이다. 이는 곧 우리 경제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하고 신뢰받는 무역 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세청 이명구 청장은 “높은 경쟁률을 통해 검증된 연구단과 함께 하는 만큼, 관세행정의 인공지능 혁신을 앞당기고 첨단 기술의 도약과 참여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연구 성과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하고 신뢰받는 무역 환경으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정택렬 공공융합연구정책관 역시 “과학기술과 행정 현장 간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첨단 기술 성과가 국민 생활과 안전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개발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 강조하며, 첨단 기술 기반의 공공행정 역량 강화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