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분기 실질 지역내총생산(GRDP) 추계 결과, 지역별 경제 성장률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분석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전반적인 경제 지표 발표에도 불구하고, 일부 권역과 시도의 부진은 해당 지역의 경제 활력 저하라는 문제점을 시사한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수도권과 대경권의 지역내총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며 상대적인 강세를 보였다. 수도권은 서비스업(1.8%)과 광업·제조업(4.5%)의 성장세를 바탕으로 1.6% 증가하였으며, 대경권 역시 광업·제조업(4.4%)과 기타 부문의 견인으로 0.1% 소폭 상승했다. 그러나 호남권(-2.0%), 동남권(명시되지 않았으나 권역별 감소에 포함), 및 충청권(명시되지 않았으나 권역별 감소에 포함)은 각각 건설업(-15.6%)과 광업·제조업(-1.5%) 등의 부진으로 인해 지역내총생산이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이러한 지역별 격차는 더욱 두드러진다. 충청북도(5.8%)는 광업·제조업(12.0%)과 서비스업(1.8%)의 호조에 힘입어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경기도(2.7%) 역시 광업·제조업(6.6%)과 서비스업(2.0%)의 동반 성장을 나타냈다. 반면, 충청남도(-3.9%)는 광업·제조업(-4.8%)과 기타 부문의 부진으로, 제주도(-3.7%)는 서비스업(-4.0%)과 건설업(-17.2%)의 급격한 하락세로 인해 지역 경제에 어려움을 겪었다. 총 17개 시도 중 5개 시도는 증가세를 보였으나, 나머지 12개 시도는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별 산업 구조의 차이와 특정 산업의 경기 변동이 지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보여준다. 특히 건설업의 부진이 두드러진 호남권과 제주도의 경우, 해당 산업의 침체가 지역 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광업·제조업의 감소세를 보인 권역 및 시도 역시 생산 활동의 위축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향후 이러한 지역별 경제 성장률의 불균형 문제는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경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감소세를 보인 지역에서는 신성장 동력 발굴과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 그리고 건설업 부진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반면, 성장세를 이어가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성과를 지속하고 타 지역과의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2분기 실질 GRDP 추계 결과는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심도 있는 논의의 장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