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최근 급변하는 남북 관계 및 국제 정세 속에서 대북 정책의 국제적 이해와 지지를 넓히기 위한 행보에 나선다. 특히 북한 최선희 외무상의 중국 방문과 대북 전단 살포 관련 논란 등 민감한 현안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부상하면서 통일부의 전략적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통일부 장관은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5박 7일간의 일정으로 독일과 벨기에를 방문한다. 이번 유럽 순방은 독일 통일의 날 기념식 정부 대표 참석과 유럽연합(EU) 주요 인사 면담 등을 포함하며, 국제사회를 대상으로 한국 정부의 대북 통일 정책을 설명하고 지지를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독일 정부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EU 차원에서의 대북 정책 논의에 한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 외무상의 6년 만의 중국 방문 역시 관심사로 떠올랐다. 통일부는 지난 2018년 12월 리용호 외무상의 방중에 이어 이번 최선희 외무상의 방중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는 않았으나, 북한의 의도와 향후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관련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있음을 밝혔다. 북한의 최근 외교적 행보가 한반도 정세에 미칠 파장을 고려할 때, 통일부의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더불어, 대북 전단 살포를 둘러싼 논란과 국회의 항공안전법 개정 추진 움직임도 통일부의 주요 현안 중 하나로 부상했다.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일부 제한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이 논의되는 상황에 대해 통일부는 소관 법률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며 국회 입법 과정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다만, 이는 남북 관계 경색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왔던 만큼, 향후 관련 법안의 처리 결과와 그에 따른 파장이 주목된다.
이처럼 통일부는 대내외적으로 산적한 현안들을 조율하며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장관의 유럽 순방을 통한 국제 사회와의 공조 강화와 함께, 민감한 현안들에 대한 면밀한 대응을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