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후변화 심화와 국제 물류 증가로 인해 외래해충의 국내 유입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농작물 피해는 물론 산림 경관 훼손과 혐오감까지 유발하며 전국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천적이 없어 대량 발생 시 통제가 어려운 돌발해충의 확산은 농업 분야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전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환경부, 산림청 등 관계 부처와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돌발해충 확산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범정부적 협력은 미국선녀벌레, 꽃매미 등 주요 외래해충의 산란을 막고 개체수를 효과적으로 줄여나가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전국적으로 10월 31일까지 ‘전국 돌발해충 일제 방제 기간’을 설정하고, 농경지뿐만 아니라 산림지, 도심공원, 가로수 등 돌발해충이 서식하고 산란하는 월동처를 집중적으로 방제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매년 월동란과 약충, 성충의 발생 추이를 면밀히 조사해왔으며, 올해는 갈색날개매미충, 꽃매미 등의 발생 면적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4,477ha였던 발생 면적은 2025년 4,326ha로 줄어들었으며, 이는 연 2회 실시되는 관계 부처와 지자체의 협업 방제가 실질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는 방증이다.
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 권철희 국장은 이번 협업 방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병해충 전문가를 통한 현장 기술 지원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며, 돌발해충의 예방 및 확산 방지가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기후변화와 국제 물류의 영향으로 신규 외래해충의 유입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 대비하여, 신규 외래해충 유입이 우려되는 농경지에 대한 예찰 활동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임을 강조했다. 이러한 적극적인 방제 노력과 강화된 예찰 활동은 기후변화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는 돌발해충의 조기 출현과 개체수 증가 현상에 효과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작물 생육 저해와 같은 농업 부문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건강한 농촌 환경을 보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