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내 학대와 방임으로 고통받는 아이들은 가장 기본적인 보호와 사랑을 받아야 할 시기에 가장 가까운 존재로부터 외면당하며 깊은 상처를 입는다. 이러한 아이들이 보호 시설에 들어오면, ‘단체생활’이라는 틀 안에서 최소한의 보호와 의식주만이 간신히 충족되는 삶을 살게 된다. 이는 아이들이 ‘학대 피해 아동’이라는 하나의 범주로 묶여, 개별적인 욕구나 소망을 표현할 기회를 박탈당한 채, 단지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만 갖추게 되는 현실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아이들에게는 단순한 생존 이상의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보살핌은 의식주를 넘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경험, ‘내 욕구를 표현해도 괜찮다’는 허락, 그리고 ‘나는 소중한 존재’라는 확고한 믿음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믿음이 성장해야만 아이들은 비로소 생존이 아닌 ‘삶’을 살아갈 힘을 얻게 된다.
최근 지급된 민생회복 소비 쿠폰은 이러한 아이들에게 단순한 생활 지원금을 넘어선 깊은 울림을 주었다. 아이들은 쿠폰으로 구매할 수 있는 물건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욕구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혹시나 잘못된 선택을 할까 눈치를 살피는 모습을 보였다. “이거 진짜 사도 돼요?”라는 질문에는 ‘나도 선택받을 자격이 있는가’에 대한 오랜 두려움이 담겨 있었다. 이는 아이들이 자신의 욕구를 존중받아본 경험이 극히 적었음을 시사한다. 아이들은 스스로 고민하고, 물건을 고르며 망설이는 과정을 통해 단순한 소비 행위를 넘어,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결정하는 첫걸음을 내딛었다.
작은 소비 쿠폰 한 장이 아이들에게 준 것은 생필품이 아니었다. 그것은 자신의 기호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고, 억눌렀던 마음을 가볍게 할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무엇보다 ‘나도 괜찮은 존재’라는 작지만 단단한 확신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처럼 아이들이 자신의 삶의 주체로 성장하도록 돕는 일은, 그렇게 소박한 선택의 경험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자료제공 : (www.korea.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