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0월 경주에서 개최될 2025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가 행사장 인근에 위치한 월성원자력발전소의 물리적 방호체계를 긴급 점검했다. 이는 최근 높아진 국제 행사 개최지 주변의 테러 위협에 대한 경각심을 바탕으로, 비상 상황 발생 시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원안위는 이번 점검을 통해 APEC 기간 동안 예상되는 핵물질 및 원자력 시설에 대한 안팎의 위협을 사전에 방지하고, 실제 위협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며,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준비 상태를 다각도로 확인했다.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에 따라 원자력 시설은 3년마다 위협 평가를 실시하고 물리적 방호체계 설계 및 평가의 기준이 되는 위협을 재설정하게 된다. 이에 한국수력원자력(주)(이하 한수원)은 원안위가 설정한 위협을 기반으로 필요한 방호 관련 시설 및 장비를 확보하고 운영하며, 정기적인 물리적 방호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원안위는 이러한 한수원의 훈련을 평가하고 잠재적인 취약점을 도출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최원호 원안위 위원장은 한수원으로부터 불순세력의 울타리 침범(지상), 불법 드론 출현(대공), 미확인 선박 접근(해상) 등 다양한 위협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 체계를 보고받았다. 더불어 APEC 기간 동안 강화될 예정인 방호 조치 계획도 면밀히 점검했다. 또한, 위협 발생 시 지역 군 및 경찰과의 긴밀한 합동 대응 태세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경계 초소를 비롯한 원전 외곽 울타리의 경계 태세, 대응 장비, 해안 감시 장비, 대공 방어 장비 등을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최원호 위원장은 “원전 대상 테러는 심각한 방사능 사고로 직결될 수 있는 만큼 철저한 대비 태세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한수원을 비롯하여 군, 경찰 등 모든 유관기관이 긴밀히 협력하여 빈틈없는 방호 체계를 유지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2025 APEC 정상회의 기간 동안 월성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을 확보하고, 잠재적인 테러 위협으로부터 국가 안보를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