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전력 공백 사태, 이른바 ‘블랙아웃’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판단을 넘어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중요한 행정 결정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에너지 수급 안정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원자력 발전소의 계속운전 허가 심의가 늦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파장은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허가 여부에 대한 심의를 본격화했다. 원안위는 오늘(2025년 9월 25일)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 안건을 상정하고, 관련 법령에서 정한 엄격한 절차와 안전성 기준에 따라 심의를 진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노후 원전의 안전한 운영과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만약 고리 2호기의 계속운전이 법령 기준과 절차에 따라 신속하게 허가된다면, 전력 공급 불안정으로 인한 ‘블랙아웃’과 같은 심각한 상황을 예방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원안위가 행정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정책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에너지 안보 강화라는 국가적 목표 달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